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72 (2024)
pp.151~196

DOI : 10.18850/JEES.2024.72.06

하버마스 ‘생활세계’의 도덕교육적 의의

노중섭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학과 박사과정)

하버마스에 따르면 체계를 통해 생활세계의 합리화가 어느 정도 진 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체계는 상호성에서 한계를 드러낸 다. 상호성의 영역은 현대의 도덕영역에 화두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의사소통 합리성이 요구되는 생활세계의 영역은 도덕교육의 장(場)이 된다. 물론 이때 체계를 부정적인 것으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 우리 목 전의 요소들이 대부분 양가(兩可)적이며 동근원(同根源)적이라는 사실 을 잊어서도 안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덕교육에서는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또, 행정이나 경제와 같은 체계가 교육 또는 도덕 교육이라는 생활세계를 잠식할 정도의 상황은 항상 경계해야 한다.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abermas' Life World

Noh, Joong-seop

According to Habermas, the life world should be viewed as being rationalized to some extent by system. However, the system reveals its limitations in reciprocity. The realm of reciprocity becomes a hot topic in the modern moral realm. Therefore, the realm of the life world where such communication rationality is required becomes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Of course, at this time, the system should not be driven into a negative one. We must not forget that most of the elements in our sight are ambivalent and homogeneous. For this reason, moral education needs to overcome dichotomous thinking. In addition, we must always be wary of situations where systems such as administration and economy erode the life world of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