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학술대회 논문집

학술대회 논문집, (2017)
pp.351~370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도덕교육적 고찰

문경호

(화성 향남중학교)

추정완

(목포대학교)

도덕적 의사결정은 도덕적 판단에서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가는 전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실천 대안을 모색 하고 그 중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의식적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판단-선택-행위의 구조에서 판 단과 선택을 아우르는 과정이 의사결정 과정이다. 판단은 평가와 관련된다. 어떠한 대상이나 행위, 현상 등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그 대상, 행위, 현상 등에 대한 평가의 의미가 담겨있다. 그리고 많은 경우 보편적 도덕 원리가 평가에 대한 준거로 작동한다. 반면 선택은 의무로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선택은 상황에 대한 보다 특수 한 고려를 수반한다. 판단과 불일치하는 선택의 경우 판단을 이끈 의무감을 뛰어넘는 여러 요인이 작동할 수 있다. 다양한 요인이 최초의 도덕 판단과 괴리된 선택으로 행위자를 이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으로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정서를 살펴보았다. 도 덕적 추론에 의한 정당화 과정은 판단을 선택으로 나아가게 하는 의사결정의 유의미한 심리적 동기 가 될 수 있다.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에서 어떠한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는 설득력 있는 이유를 발견한다면 의사결정이 한결 쉬워지면서 그러한 결정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된다. 또 한 직관적 판단의 편향을 차단하고 오류를 교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현재의 나의 정서와 선택 이 후 예상되는 미래의 나의 정서 역시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정서적 만족감, 죄 책감 등의 감정은 도덕적 의사결정을 고양시키거나 비도덕적 의사결정을 억제할 수 있다. 도덕적 의사결정과 실천력 함양을 위해 역량 중심과 동기화 중심으로 접근하여 도덕교육적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전자가 개별 행위에 직면한 행위자의 대응에 초점을 둔다면, 후자는 개별 행위 보다 는 행위자의 전체적인 성향이나 성품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공감, 개인적 가치, 성격 특 성에 기반한 역량 강화와 함께 도덕적 정체성을 통한 동기화 문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