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71 (2024)
pp.83~131

DOI : 10.18850/JEES.2024.71.04

미하일의 도덕 문법 가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 박사과정 재학)

미하일은 촘스키의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도덕 문법 가설을 제안 한다. 도덕 능력과 도덕 능력의 수행은 구분되며 도덕 인지 과학의 우 선적인 연구 과제는 도덕 능력을 기술하는 것이다(능력-수행 구분 논 제). 도덕 능력은 무의식에서 작동하므로 언어로 표현된 도덕 원리에 관한 보고가 아닌 실제 도덕 능력의 알고리즘을 밝히는 정신주의 접근 법을 토대로 삼아야 한다(작동 원리와 표현 원리의 구분 논제). 자극에 포함된 속성만으로는 직관적인 도덕 판단을 해명할 수 없다(자극 빈곤 논제). 도덕 능력은 순차적인 정보처리 과정을 거쳐 자극을 표상하며, 그 결과 직관적인 도덕 판단이 도출된다(도덕 문법 가설 논제). 도덕 문법 가설은 트롤리 사례에서의 도덕 반응 자료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무의식적인 도덕 능력의 알고리즘을 조명한 공로가 크다.

A Critical Study on John Mikhail's Moral Grammar Hypothesis

Lee, Seon

Mikhail proposes a moral grammar hypothesis based on Chomsky's research methodology. Moral competence and moral performance are distinguished, and the primary research task of moral cognitive science is to describe moral competence. Since moral competence works in the unconscious, it should employ mentalistic approach that reveals the algorithm of actual moral competence rather than reporting on verbally expressed moral principles. Intuitive moral judgments cannot be explained solely by the properties included in the stimulus. Moral competence represents stimulus through sequent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s a result, intuitive moral judgments are derived. Although the moral grammar hypothesis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moral response data in the trolley cases, it has great merit in illuminating the algorithm of unconscious moral competence.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