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67 (2023)
pp.389~417

DOI : 10.18850/JEES.2023.67.13

중관사상과 유식사상의 관계성에 대한 소고 - 연기설을 중심으로 -

안영석

(안동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본 논문은 중관사상과 유식사상의 관계성을 연기설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다. 중관사상은 초기불교의 일반적 연기 중에서도 존재적·논리적 관계의 연기설을 발전시켜 부파불교의 실체설을 타파한 반면, 유식사 상은 부파불교 업감연기설을 대승의 관점에서 변화시켜 초기불교의 심 리적·가치적 연기설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러한 두 사상은 유식사상의 초기까지 여러 면에서 상당한 공통점을 보였지만, 유상유식사상이 등 장하면서 이들은 여러 견해 차이를 노정하여 논쟁으로 치닫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들 관계를 우열의 차이로 주장하는 각각의 교판들이 등 장하였지만, 이들은 자기 사상의 중심 개념을 표준으로 삼아 상대 사 상을 열등하게 위치시키는 불합리한 면이 있다. 따라서 두 사상의 관 계는 반야경의 공사상을 공통의 지반으로 하면서도 서로 방법론을 달리하여 존재론적 측면과 인식론적 측면으로 발전해간 사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ādhyamika Thought and the Yogācāra Thought - Focusing on Paticcasamuppada -

Ahn, Young-seok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ādhyamika thought and the Yogācāra thought, focusing on Paticcasamuppada (緣起). Mādhyamika Thought developed the theory of ontological and logical Paticcasamuppada among the general Paticcasamuppada of early Buddhism and broke the theory of substance of Abhidharma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Yogācāra thought further developed the psychological and value theory of Paticcasamuppada in the early Buddhism by changing the theory of Karmic paticcasamuppada from the viewpoint of Mahayana Buddhism. These two thoughts showed a lot in common in many aspects until the early days of Yogācāra thought, but with the emergence of “aspectarians” (sākāravāda) in the Yogācāra tradition, they showed various differences of opinion and led to controversy. In this process, each view asserting these relationships as a difference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ppeared, but they have an irrational aspect of placing the other's ideology as inferior, taking the central concept of their own ideology as the standar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deas as an idea that has developed into an ontological and an epistemological aspect by using different methodologies while taking the Idea of Emptiness of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as a common ground.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