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61 (2021)
pp.91~117

DOI : 10.18850/JEES.2021.61.04

칸트의 자기 만족감 개념을 토대로 한 행복과 도덕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두연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본 연구는 어린이-청소년 행복을 구성하는 객관적 지표들은 떨어지 지 않는데, 정작 어린이-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은 떨어지 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기제를 밝히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 를 위해 본 연구는 칸트가 말한 ‘선의지와 결합된 참된 만족감과의 일 치’상태인 최고선이 도덕과 행복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는 지점이라고 판단하고, 칸트의 자기 만족감(Selbstzufriedenheit) 개념을 활용하여 행 복과 도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연 구들이 행복에 대한 정의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 나고 있는지, 다시 말해 실제 학교교육의 방향을 좌우하는 교과서에 행복 관련 내용 요소가 결여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지 아니면 행복 관련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등을 따져보는 과정 을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2015 개정 도덕과 교과서에 행복과 자기 만족감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도덕 교육 이 학생들의 행복 지수 증가를 견인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based on Kant's concept of self-satisfaction

Lee, Doo-yeo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mechanism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objective indicators constitu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o not fall, but the happiness subjectively felt by children and adolescents does fall. To this end, this study judges that the highest good, which is the state of 'concordance with true satisfaction combined with good will' as described by Kant, is the point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can be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happy and morality was confirmed. In addition, studi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academia so far. In other words, whether the problem arises from the lack of happiness-related content elements in textbooks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of actual school education, or how to deliver happiness-related content.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re is omitted. With this in mind, we tried to find a way that moral education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happiness index of students by analyzing how happiness and self-satisfaction are described in the 2015 revised moral textbook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