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61 (2021)
pp.55~89

DOI : 10.18850/JEES.2021.61.03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유교 윤리 서술 개선을 위한 분석과 제언 - 주자와 왕양명, 퇴계와 율곡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

강보승

(성균관대학교 성균인성교육센터 선임연구원)

현행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는 성리학을 ‘사물의 이치 규명’, 양명학을 ‘주체의 도덕성 회복’이라는 소제목 하에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의 이치 규명’과 ‘주체의 도덕성 회복’은 성리학과 양명학이 공통 적으로 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학습자의 피상적 이해를 방지하기 위 해 중단원 제목을 ‘사랑[仁]에 기반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을 어떻게 실 현할 수 있을까?’로 설정하고, ‘이치 탐구’와 ‘도덕성 회복’에 대한 성리 학과 양명학의 관점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과서의 주자와 왕양명 사상 서술에서 지(知)에 대한 정의가 빠짐으로 인해 선지후행, 지행병진, 그리고 지행합일을 이해하기 어렵 다. 그러므로 “주희는 논리적으로는 앎이 먼저라고 보았고, 앎 보다는 실천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앎과 실천이 같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이상적인 앎과 실천의 관계로 보았다.”로 서술을 고치고, 양지의 지(知)를 기반으로 치양지와 결부하여 지행합일을 말한 것으로 왕양명 의 사상을 설명할 것을 제안한다. 퇴계의 이(理)․기(氣)에 대한 관점이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로 획일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는 퇴계의 언급 은 그의 종지(宗旨)가 아니다. 또한 ‘이는 장수이고 기는 병졸이다’는 말도 이와 기에 관한 퇴계의 지배적 견해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교과 서의 ‘이귀기천(理貴氣賤)’, ‘이수기졸(理帥氣卒)’이라는 표현의 적정성 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는 이기론과 사단칠정론을 두고 퇴계와 율곡 상호가 논쟁한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논쟁 당사자는 퇴계와 고봉, 율곡과 우 계이다. 따라서 “16세기 후반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이기론, 사단칠정론 을 주제로 윤리 사상에 있어 중요한 논쟁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이황과 기대승, 이이와 성혼 간의 논쟁이다.”라고 별도의 설명을 제시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주자 윤리사상에 이기ㆍ심성론이 잘 기술되어 있으므로 퇴계와 율곡의 윤리사상에서는 이기ㆍ심성론 기술을 줄이고, 퇴계ㆍ율곡 사상의 특징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수양론 중심으로 서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퇴계의 『성학십도』와 율곡의 『성학집요』의 내 용 체계를 활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An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in describing the confucianism ethics part of Ethics textbook

Kang, Bo-seung

In ethical textbooks, it compares Neo-Confucianism with Yang Myung-hak in two points of view: ‘Identifying the Reason of Things’ of Neo-Confucianism and ‘Recovering the Morality of the Subject’ of Yang Myung-hak. Both Neo-Confucianism and Yang Myung-hak, however, seek to establish the reason of things and restore the morality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title of the unit should be set as “How can an orderly world be realized by Jen (仁)?” and consistently present the process of developing ideas from Confucius to Yulgok to restore the morality of the subject. There is no definition of “Ji(知)” in the ideological narrative of Juja and Yangmyu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he two leaders. Therefore, the textbook must explain that Juja said ji(知) means knowledge, and Yangmyung said Ji(知) is The Innate Moral Wisdom. The textbook states that Toegye said, “Li(理) is precious and Ki (氣) is vulgar.” However, Toegye did not refer “Li(理) is precious and Ki(氣) is vulgar”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ld. Also, the phrase “Li(理) is Leader and Ki(氣) must obey Li(理).” is not a reference from Toegye. Therefore, the expressions such as “Li(理) is precious and Ki(氣) is vulgar” should be removed from textbooks. Additionally, the textbook also describes Toegye and Yulgok as arguing with each other. However, the parties involved in the dispute are Toegye & Kobong and Yulgok & Ugyae. Thus, In the late 16th century, Joseon Neo-Confucianists had an important debate on ethics. The textbook should refer a separate explanation that a representative argument is the one between Lee Hwang and Kobong, Yiyi and Ugyae. Finally, the textbook, which describes as Ontology, Psychological theory, should be improved to the theory of cultivatio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