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60 (2021)
pp.223~256

DOI : 10.18850/JEES.2021.60.08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실존적 자각 능력의 도덕교육적 해석 - 하이데거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은미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교실 안에서 학생들은 자신과 동료를 가정환경이나 학업 성취도, 외모 등으로 구분 짓고 무리를 만든다. 이러한 차등 속에서 자신과 타인을 대하는 태도를 하이데거의 용어로 존재망각이라 일컬을 수 있다. 존재망각은 고유한 실존의 양식을 망각하고 자신과 타인을 존재자로 격하하는 사유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존재이해를 시도하는 능력을 실존적 자각능력으로 해석하고 도덕과 수업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보는 연습’이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특히, 존재이해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현존재의 처해있음을 드러내는 근본기분인 불안에 주목하고, 도덕교육적 해석으로 ‘물음던지기’와 ‘견딤을 통한 끌어안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An Interpretation of the Ability of Existential Awarenes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 Focused on the Discourse of M. Heidegger -

Kim, Eun-mi

In the classroom, students divide themselves and their peers into groups based on their family circumstances, academic achievement, and outward appearances. Heidegger calls this ‘oblivion of being[Seinsvergessenheit]’ to refer to an attitude toward oneself and others based on such a discriminatory way of thinking. This leads to a thought that tends to forget the essential mode of existence and degrades oneself and others to beings[das Seiende]. This study interprets the ability to try to understand the being[Sein] as existential awareness ability and emphasizes the need for 'exercise to see oneself as one is' in moral education class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Sein,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anxiety, which is the fundamental mood that reveals the situation of the present being[Dasein], and proposes ‘questioning’ and ‘embracing through endurance’ as moral educational interpretation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