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55 (2020)
pp.309~336

DOI : 10.18850/JEES.2020.55.11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도덕과 평화교육의 가능성 모색

문경호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

이 글에서는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도덕과 평화교육을 역량과 발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 발달수준을 토대로, 소셜 미디어의 특징인 참여,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평화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대표적으로 평화 캠페인은 소셜 미디어 표현 능력과 적극적 참여 능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프로젝트 학습은 소셜 미디어의 생산적 활용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 기반 토론 학습은 소셜 미디어 평가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학생들의 삶에서 소셜 미디어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여, 평화교육의장면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갈등의 장(場)이 아닌 대화와 토론, 협력과 관용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혜를 모아나가야 한다.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eace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Using Social Media Literacy

Moon, Kyung-Ho

This study examines the peace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edia literacy. Based on social media literacy competency and developmental levels, this study explores peace education methods that can actively use social media'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ypically, peace campaigns can cultivate social media expression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project learning can cultivate social media productive literac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addition, social media-based discussion learning can also increase social media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Given the weight of social media in the lives of students, educational wisdom must be gathered so that the social media platform can function as a forum for dialogue, discussion, cooperation and tolerance, rather than a conflict, in the context of peace educatio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