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54 (2019)
pp.289~325

DOI : 10.18850/JEES.2019.54.10

탈분단 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안승대

(경북대학교 평화문제연구소 연구원)

이 연구는 탈분단 (평화)교육론을 비판적으로 분석, 고찰한 후에, 이 를 극복할 수 있는 통일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탈분단 (평화)교육론은 통일 대신에 탈분단을 추구하며, 교육목표 역시 통일이 아닌, 평화·인권과 같은 인류가 근대이래 추구 해 온 보편적 가치를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 탈분단 교육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첫째, 사실상의 분단의 논리, 평화와 통일을 분리적으로 사고하는 등의 탈분단 논리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 민족주의에 대한 일면적 이해의 문제, 즉 민족주의의 다양한 특징 중 부정적 기능만을 전체 특징으로 이해한다는 점, 한반도 민족주의의 저항과 민주주의적 특징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 대안의 부재 등의 문제점이 있다. 셋째, 통일교육을 평화교 육으로 대체시키고 있는 문제가 있다. 넷째, 보편적 가치를 취사선택하 여 강조하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탈근대론과의 결합을 통해 분단을 개인문제로 치환하는 등 보수적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통일교육의 대안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분단교육으로부터 통일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통일교육은 민족의 통합, 통일 실현을 위해 민족주의와 결합되어야 하며, 공존과 평화의 논리를 지니고 있는 화쟁 의 민족주의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통일교육은 평화교육과 적 극적으로 결합될 필요가 있다. 넷째, 통일교육은 인류가 지향해 온 보 편적 가치, 즉 생태주의 등과 적극 결합될 필요가 있으며, 생태주의 통 일교육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섯째, 통일교육은 근대와 탈근 대의 결합을 통해 근대기획으로서의 민족통일국가의 완성 및 각종 탈 근대적 사회 현상의 도전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근대와 탈근대의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는 화쟁사상과의 결합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A critical review on the theory of the post division (peace) education

An, Sueng-Da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view on the theory of the post division education and then to present an alternativ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Because the theory of the post division education have been pursuing the post division instead of unificati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is theory is not unification but the universal value such as peace and human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heories of the post division have problems, that are, the logic of division, of separation from unification and peace. Second, there are many problems on nationalism that are misunderstanding on nationalism such as the emphasis on the malfunction of nationalism, misunderstanding on the Korean nationalism that has a resistant, democratic characteristics, lack of alternatives. Third, there is a problem which is replaced on the peace education rather than unification education. Fourth, they emphasize on the universal values arbitrarily. Fifth, as it based on the postmodernism, it played a conservative rol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at combination of unification with peace education, joining together unification education and nationalism, transition from post division educ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combin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versal values and postmodernism and modernism.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