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54 (2019)
pp.59~118

DOI : 10.18850/JEES.2019.54.03

생태중심주의에서 내재적 가치 논쟁 - 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 생태중심주의 분석과 제언 -

김남준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 존적인 것인지, 아니면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터 독립적인 것인 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캘리콧의 가치 주관주의와 롤스톤의 가치 객관주의를 비교·논구함으로써 내재적 가치에 대한 생태중심주의 내부 의 논쟁을 분석하는 것이다. 캘리콧은 흄, 다윈, 레오폴드로 이어지는 학문적 흐름 속에서 탈인간중심적이면서도 인간 기원적인 내재적 가치 로서 본래적 가치를 지지한다. 캘리콧과 비교할 때, 롤스톤은 가치 관 찰자와 가치 담지자를 구분함으로써 인간중심적이지도 않고 인간 기원 적이지도 않은 객관적이고 자율적인 내재적 가치를 옹호한다. 캘리콧 과 롤스톤 모두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가 비도구적 가치를 갖는다 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런데 캘리콧의 본래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일부를 생략하여 줄인 의미에서의’ 내재적 가치로 평가되고, 롤스톤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 터 독립적이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의’ 내재적 가치로 평가된다. 캘리콧과 롤스톤의 가치론은 개체의 가치보다 생태계의 가치에 우선성을 두기 때문에 전체주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개체의 가치가 생태 계의 가치에 의존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개체가 문자적 의미에서 내 재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캘리콧과 롤스톤의 가치론이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의 범위를 개체에서 생태계로 확장하고,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에 대 한 인간의 도덕적 의무를 정당화함으로써 생태중심주의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바를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구를 바탕으 로 중등 교과서의 생태중심주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을 제언한다. 첫째, 생태중심주의에서 본래적 가치 또는 내재 적 가치라는 용어는 개별 학자의 입장에 적확한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둘째, 생태계의 안정과 질서, 선의 실현을 위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내용은 생태중심주의의 기본 입장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 야 한다. 이와 같이 중등 교과서의 생태중심주의 관련 내용이 정확한 이론적 토대 위에 근거함으로써 인간 이외의 존재 및 생태계와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고 지구적 수준의 환경 위기를 극복하려는 학생들의 도 덕적 태도와 역량을 함양하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A Debate on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 An Analysis and Suggestions on Ecocentrism as Contents of Moral Education -

Kim, Nam-Jo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a debate on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By doing so, I have compared Callicott’s value subjectivism with RolstonⅢ’s value objectivism focusing on the question “Is intrinsic value in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In the academic tradition of Hume, Darwin and Leopold, Callicott advocates inherent value of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as the concept of nonanthropocentric and anthropogenic intrinsic value. Compared with Callicott, RolstonⅢ advocates the concept of nonanthropocentric, nonanthropogenic, objective and autonomous intrinsic value by distinguishing between value holder and beholder. They all insist that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have non-instrumental value. However, Callicott’s inherent value is called intrinsic value in a truncated sense because it is 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Compared with Callicott’s inherent value, RolstonⅢ’s intrinsic value is called a literally intrinsic value because it is in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Although they are criticized because of totalism, individual’s intrinsic value etc, we should respect their contribution to ecocentrism. They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cocentrism by expanding the scope of intrinsic object from individuals to ecosystem, and justifying our moral duties to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Based on this argument, I have reviewed the contents on ecocentrism in the textbooks for moral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I have given two suggestions. First, the term ‘inherent value’ or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should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each ecocentrist’s position. Second, the contents on our role for the realisation of the stability, order and good of the ecosystem should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osition of ecocentrism. As such, the contents on ecocentrism should be based on accurate theoretical foundation, thus contributing to fostering students’ moral attitudes and capabilities to build a right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and to overcome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