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45 (2017)
pp.247~274

바디우의 사건(1)

오진영

(부산대학교 윤리교육학과)

이 글은 바디우 저서 『존재와 사건』에서 개진한 다수에 관한 논의를 구체화한 관련내용을 중심으로 동저자 『윤리학』의 주요 개념인 사건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존재로서­존재함이 무차이의 차이로 존재한다는 점과 존재론이 자기-귀속 금지의 공리를 토대로 구축되어 있음이 밝혀진다. 사건은 자기-귀속 금지의 공리가 적용되지 않는 공백의 (사건적)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자기­귀속이 풀린 사건은 식별 불가능한 비정합적이고 하나로­셈할 수 없는 다수가 있음을 소급적으로 반증한다. 비정합적 다수의 계열인 순수다수와 공백과 무한은 현시 및 상황에서 식별 불가능하다. 하지만 현시의 현시, 즉 메타구조에서는 그 흔적은 기표로 남길 수 있다. 이 개념의 연장 선상에서 사건의 본질이 존재를 초과하는 다수로 논의될 수 있다. 존재를 초과한다는 뜻은 존재의 관점 내부가 아니라 사건의 관점에서 존재의 관점에 영혼의 시선을 둘 때 이해된다.

Badiou’s Theory of the EVENT

Oh, Jinn-You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EVENT of Ethics, focusing on the MULTIPLE thesis of Being and Event, in Badiou. This article proves that ‘what-is-being-qua-being’ is multiplicity as pure indifference of beings, which is found on the axiom for the prohibition of self-belonging. But ‘what-is-not-being-qua-being’ occurs ‘evental’ self-belonging. That means self-belonging to constitutive of the event. This dispute retrospectively provides a place to disprove that there is an inconsistent multiplicity which can not be counted-as-one in the presentation. A non-existent as being is understood through a supernumerary within presentation of presentation, when the empty set appears out of meta-structure to event. Exceeding being means being to be understood not within the perspective of being(situation),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vent(or the edge of the void).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