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한국윤리교육학회 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윤리교육연구


pISSN: 1738-0545 / eISSN: 2733-8983

윤리교육연구, Vol.43 (2017)
pp.201~221

사회정서학습에 관한 비판과 논쟁 고찰

김윤경

(양진중학교 교사)

최근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정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관심과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사회정서학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을 둘러싼 미국 학계의 논쟁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비판은 정서지능과 효과측정에 관한 심리학적 비판, 비도덕적 결과의 가능성에 대한 윤리학적 비판, 주류 계층의 신자유주의 질서 유지를 위한 수단이라는 정치적 비판, 교사와 학생의 비본질적 관계에 관한 교육적 비판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회정서학습 옹호자들을 사회정서학습의 본래 취지와 성과를 근거로 반박하고, 사회정서학습의 문제점에 대해 스스로 인지하여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비판과 반론은 사회정서학습을 국내 적용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 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과 적용 효과에 대한 타당한 측정의 필요성, 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고려, 인성교육 방안으로 도덕성 발달에 대한 고려, 교사들의 자발적 연구와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A Critical study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Kim, Yoon-Kyeong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academic interest regard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critical studies of SEL and their respective counter-arguments. Criticisms on SEL are largely fourfold. Fist, theory primarily depends upon EI(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which is yet to be accepted in the psychological field. Second, a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s value-neutral concept, education through may have an immoral output. Third, SEL can serve as an educational system that merely helps maintain the hegemony of the US mainstream class. Ultimately, from a didactic perspective, SEL ignores intrinsic relationships buil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contention to above criticisms, advocates of SEL focus their arguments on its merits. Further, they address SEL's demerits and provide a possible improvement. As a result, in applying SEL to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 following paper suggests a necessity for standardized measurement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consideration of cultural idiosyncrasy, consideration of moral development as character education and necessity for teachers' voluntary researches.

Download PDF list